Chiusakpung's Electronics Blog

블로그 이미지
Computer programming ...
by 치우삭풍
  • Total hit
  • Today hit
  • Yesterday hit

'나컴퓨터받았다'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09.03.31
    [개별연구노트] 3월 31일
시험이 끝나고 나니 무언가 바쁘다.

일단 월요일 어제는 4주 훈련 다녀오신 우리 N.J. Cho 선배님께서 이제 포닥방으로 거처를 옮기셨고, 빈 자리를 J.Y. Kim 선배님께서 그 자리를 옮기고 다시 J.S. Kwon 석사 선배님이 J.Y. Kim 선배님자리로 옮기는 대규모 이사가 진행 중이었다. 그리고 리눅스 머신은 원래 Kim 선배님것이었으므로 회수 되었고, 나는 랩에 남아 있는 컴퓨터 한대를 받아 다시 리눅스 서버를 설치해야 했다.

(1) 컴퓨터 셋팅에서 CentOS 설치까지. (PM 3:00~PM 6:00)

먼저 S.J. Oh 박사님께서 쓰시던 컴퓨터 하나 받아서 리눅스 서버로 셋팅! 하드디스크랑 그래픽 카드가 없어서 랩에 있는 걸 받아서 장착하고 바로 웹캠 설치.

..... 하고 싶었으나 삽질의 연속 ㅠ....

1) 컴퓨터 본체의 HDD나 ODD를 장착하는 부분에 접합된 쇠마개는 원래 부셔도 되는 거란다.
   HDD Cable 선이 하나인데다가 길이도 짧아 HDD와 CDROM을 최대한 가깝게 달아야 해야 했다.
   문제는 저놈의 쇠마개 때문에 어쩌지, 하고 고민하고 있었는데 역시 사수 S.J. Lee횽님 ㅋ
   박사 오오라를 시전하시며 가볍게 쇠마개를 부셔주셨다.

2) HDD Cable을 달때 맨 꼬다리 코드가 HDD로, 중간의 코드가 ODD로 들어가야 한다.
    근데 문제는 이 본체에서 ODD가 위, HDD가 아래니까, HDD Cable을 좀 꼬아서 연결해야 하는데..
    -_- 이게 또 짧다. 그래서 범용 Cable로 달았더니 아예 "A Disk Read Error" 뜨면서 부팅이 안된다.
    원인은 이 범용 선은 Master(Primary?)/Slave 설정 중 Cable Select가 안되는 선이란다.
    (HDD와 ODD뒤에 달린 버퍼로 하드웨어 레벨 셋팅을 할 수 있는데, 왼쪽 2번째 위아래로 연결하면
     Cable Select로 설정할 수 있다.)

3) 아 근데 실수로 HDD Cable을 거꾸로 꽂는 바람에 CDROM 뒷부분의 핀이 휘어버린것 같다.... ㅠ
    바로 사수님께 SOS. 하지만 역시 S.J. Lee 횽님, 박사 포스 내시며 '고장나면 사면 되지' 하신다.
    그런데 자세히 보니 핀이 휜게 아니라 안쪽으로 먹힌것. 운이 좋았다 ㅠ..

4) 다 연결했는데도 아예 부팅이 안되고 모니터도 안 켜지면서 동시에 일정 시간 후 자동으로 꺼져버린다...
   컴퓨터 폭파되는 줄 알고 겁먹었는데..... 후광을 발휘하시면서 S.J. Lee 횽님의 하드웨어 디버깅 시전.

   HDD와 ODD를 최대한 가깝게 위치시키느라고 램을 뽑았다 꼈는데, 잘 안껴졌나보다...

   - 여기서부터 S.J.Lee 횽님의 하드웨어 디버깅.

      => 램을 전부다 뽑은 뒤 부팅을 하니 램 없다고 비프음 반복
          :  OS로 소프트웨어 부팅이 일어나기 전 하드웨어 부팅이 있고, 하드웨어 부팅은 장치 인식의 단계가 있다.
             장치 인식의 매 단계마다 이상이 생기면 우리의 Mother Board님께서 아름다운 비프음을 들려주신다.

      => 램 소켓 4 개중 두 개는 희끄므런 노란색인데, 이 곳에 램 두 개를 꽂고 다시 부팅하니 화면 잘 나온다.
           근데 키보드 없다고 에러.
           부팅 시 일정 시간 지난 후 자동으로 꺼지는 건 CPU 어쩌구 에러 때문. (Jerald 랩장님께서 먼지 때문이라 하심)
           : 풍선에 공기 넣는 휴대용 펌프로 CPU 비롯 본체 곳곳의 먼지를 털어냄.
             (아 히밤 -_- 먼지가 넘 많았다)

      => 키보드 연결 전 이상있는 램이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 다시 나머지 2 개의 램을 꽂고 부팅했는데
          이상 무. 이상 없는 것 확인하고 키보드 연결하니 OS까지 부팅 완료.
     
*** 랩에서 굴러다니는 모니터와 키보드, 마우스 및 전원 코드를 랩 장비 담당 T.H. Rho 선배님께 허락 받아 대여, 내 자리에 설치했다. 하드 내용 보니까 함께 개별연구하는 S.W. 횽이 쓰던 것이었는데, 포멧해도 된다고 해서 CentOS 설치할 때 아예 밀어버렸다.

아~ 사랑스러운 리눅스 머신~~~
이젠 나도 컴 받았다 >_< ㅋ



(2) Webcam Driver on Linux 설치.

* CentOS에 대하여..

-_- 난 처음에 CentOS를 보고... '이름도 참 싼(센트?) 티 나는 것이 어디서 배포하는 것이길래... ' 라고 생각했었으나;;; RHEL(Red Hat Enterprise Linux)의 클론 버젼이란다.
헉. 참 오랜만에 듣는 단어. 내가 마지막으로 리눅스 공부하던 때가 중 2때 였고.. 그 때 당시 레드햇이 더 이상 무료 배포를 하지 않는 다며 기업 대상으로 내 놓은 제품이 바로 RHEL였다. 이 RHEL은 상용으로 레드햇 홈페이지에서 제품 등록을 해야 하는 제한이 있는데, CentOS는 그게 없단다. 즉 RHEL의 기능은 다 쓸 수 있으면서 상용은 아닌 뭐 그런.

아, 참고로 레드햇 계열의 무료 배포본은 Fedora Project로 넘어가 Fedora Core 라는 이름으로 계속 배포 될 거라고 중학교 때 들은 기억이 있다. 6년이 지난 지금 벌써 Fedora Core 9까지 나왔고, 앞으로는 더 이상 나오지 않을거라는 소문이 들린다.

* 레드햇 계열에서 패키지 설치 방법 : yum install ~
~는 패키지 이름이고, 여기에 와일드 카드를 넣어서 그 이름을 같는 패키지 전부를 설치할 수도 있다.
yum은 골치아픈 의존성 문제를 다 해결해주는 착한 녀석. 정말 패키지를 맛있게 먹고 소화도 잘 시키는 놈이다.
아, 그런데 콘솔에서 yum을 쓰는 것보다 그냥 GNOME 패널에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추가/삭제'를 쓰는 편이 훨 낫더라. 이건 GUI yum.

* Webcam Driver의 인식

Linux Kernel 2.4 이상에서는 video for linux (혹은 업그레이드 된 video for linux 2) 이 기본적으로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웹캠 잡아주는 것에는 이상이 없다고 웹 서치 결과는 말한다.

아 히밤 근데 이거 머냐고. (PM 8:00~PM 9:00)
분명 modprobe pwc (Philips WebCam deivce의 약자)를 해서 장치 모듈을 올려주었고,
lsmod | grep 'video' 를 하면 videodev 등이 올라와 있음을 확인할 수 도 있고
또 lsusb를 통해 엄연히 Logitech Quickcam Sphere Orbit/AF라고 나와 있는데
왜 /dev/video0 가 인식이 안되냐고요 ㅠㅠㅠ

(PM 9:10) 콘솔에서 에러나면 비프음 나는데, 이거 끄는 방법이 xset -b.

소스포지에서 진행중인 프로젝트 중 quickcam usb library인 qc-usb를 설치하려고 했는데 xawtv라는 프로그램이 없어서 설치를 못한단다.

xawtv( http://linux.bytesex.org/xawtv )를 들어가 최신 버젼(3.95)을 다운받고 컴파일을 하려고 하는데 GG
-_- 에러가 장난아니다... 아니.. 네이버나 구글에서 뒤져봐도 xawtv 설치는 단 한줄만 언급되어 있단 말이야!
혹시나 해서 가장 낮은 버젼(3.91)을 다운 받아서 컴파일을 해보았지만 또 GG

-> 하도 안돼 웹 서치한 결과 상명대 리눅스 연구회에서 배포하는 V4L(Video for Linux) 문서를 비롯 Embedded Linux Project  보고서를 얻을 수 있었다. 왠지 상명대 분들이 존경스럽다.

http://blog.naver.com/varcars?Redirect=Log&logNo=31181767

일단 xawtv 무시하고 qc-usb를 강제 설치해본다. 일단 su - 명령어로 root 로 로그인한 뒤...
./quickcam.sh 해보니 version.h라는 헤더파일이 없단다. 아, 이게 위의 블로거가 언급한 문제 인듯.

find / -name version.h 2> /dev/null 을 통해 version.h를 찾고, 그 파일을 quickcam 설치 스크립트에서 요구하는 디렉터리에 복사해 넣고 싶은데 주소가 안뜬다.. -_- 도대체 어디다가 넣어야 되지?

    - 2> 는 Error Redirection으로 출력 결과 중 에러로 인한 것들은 2> 다음의 파일로 보낸다. (리눅스는 C 기반이니 파일 뿐 아니라 모든 장치도 다 파일로 간주함.) 위의 예는 /dev/null로 보내는 것인데, 이 장치는 블랙홀과 같은 역할? 이 장치로 들어가는 자료들은 컴퓨터 상에서 증발한다.

(여기까지 PM 9:50... 10분 동안 칼퇴근 준비다! +ㅁ+... -_- 중간 시험 한 방에 내 체력이 고갈되서 지금 살아있는게 용하다니까 ㅠ)



AND

ARTICLE CATEGORY

전체 (126)
EECS (56)
Physics (5)
Misc. (60)

RECENT ARTICLE

RECENT COMMENT

RECENT TRACKBACK

CALENDAR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